본문 바로가기

전분5

전분의 종류 한눈에 알아보기(감자전분, 옥수수전분, 타피오카전분, 쌀전분, 고구마전분) 전분 - 식물의 저장성 탄수화물 - 포도당의 배열 형태에 따라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으로 구분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분자량 적음 많음 결합 α-1,4 α-1,4 α-1,6 요오드 용액 반응 청색 적자색 나선구조 포도당 6~8개 단위로 한번 회전하는 나선구조 나선구조 없음 가열 변화 불투명 투명하며 끈기 있음 호화 반응 쉬움 어려움 노화 반응 쉬움 어려움 * 찹쌀, 찰옥수수 : 100% 아밀로펙틴 → 전분의 종류 ← 1. 곡물 전분 다량의 지질과 단백질 함유 (물과 혼합시에 탁해짐) 대부분 높은 온도에서 겔화 일어남 특유의 곡물향을 가지고 있음 ex) 옥수수전분, 밀전분, 쌀전분 옥수수전분 밀전분 쌀전분 특징 점성이 약하고 탁하지만 퍼석퍼석하고 질겅질겅한 식감 특유의 풍미가 있어 푸딩, 파이 내용물, 베이.. 2022. 11. 15.
변성전분의 종류 한눈에 알아보기 변성전분 (modified starch) :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 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품 첨가물 (주로 증점제로 사용) 1) 산처리전분 (acid-modified starch) : 산에 의한 부분적 가수분해로 전분 입자 내의 결합이 파괴되어 입자 구조가 약해진 변성전분으로 천연 전분에 비해 점도가 낮음 가열시 낮은 점도, 낮은 온도에서는 딱딱하고 강한 gel 형성 ex) 제과용 원료, 과자나 건어물에 윤기를 내는 용도 2) 산화전분 (oxidized starch) : 전분을 알칼리처리 후 제조해 점도가 낮고 비교적 투명, 냉각시에 점도 저하 찬물에는 잘 녹지 않음 ( 전분을 많이 사용해 노화 방지하고 낮은 점도 유지할 때 사용 ) 높은 안정성을 .. 2022. 11. 8.
전분의 노화의 영향을 주는 요인과 억제 방법 한눈에 알아보기 전분의 노화 : 호화된 녹말을 방치해 두면 점점 굳어져 부분적으로 결정성을 띈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 → 노화에 영향 ← 1. 종류 노화 속도 옥수수, 쌀, 밀 (곡류) > 감자, 고구마, 타피오카 (서류) 곡류의 경우 서류보다 아밀로펙틴 함량이 적어 노화 속도가 빠름 = 아밀로펙틴 함량이 많을 수록 노화가 더딤 (찹쌀, 찰옥수수는 전분입자가 대부분 아밀로펙틴으로 되어있어 노화속도가 가장 느림) 2. 온도 저장온도에 큰 영향을 받음 32~34℃에서 노화 억제, 60℃ 이상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음 유리전이온도(-5℃)보다 높은 냉장 온도에서는 노화 속도 빠름 (밥, 빵을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는 이유) 유리전이온도 이하의 냉동 상태에서는 물 입자 사이의 수소결합이 더 견고해져 물 분자가 안정화되기 때문에 노.. 2022. 11. 7.
전분의 호화의 진행과정, 영향, 활용 한눈에 알아보기 전분의 호화 (Gelatinization) : 전분 입자에 물과 열에너지를 가하게 되면 느슨해진 결합 사이로 물이 침투해 팽윤이 일어나고 전분 입자들의 분산액은 점도가 높은 콜로이드 용액 형성 → 호화의 진행 과정 ← 1. 비가역적 팽윤 : 호화 초기 단계는 수분이 다시 빠져나가 원상 복구되는 가역적 단계지만 2,3 단계를 거치며 수분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비가역적 상태가 된다. 2. 결정성 소실 :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사이의 수소결합이 깨지고 수분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전분 분자는 결정성을 소실 3. 복굴절 소실 :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사이에서 수소결합이 깨지며 결정성을 잃게 되면 편광현미결으로 관찰되는 복굴절 소실 → 녹말의 호화 ← 1. Initial phase : 낮은 온도의 물에 전분이 .. 2022. 11. 7.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차이와 강점 한눈에 알아보기 → 아밀로오스 vs 아밀로펙틴 ← 아밀로오스 - 젤리의 강도 아밀로펙틴 - 점도 아밀로오스 : 나선형 구조로 아밀로펙틴에 비해 단순하고 분자의 크기가 작지만 결정화가 쉽고 소화 효소에 대한 내성이 강함 + 노화시에 재결합이 빠름 아밀로펙틴 : 짧은 사슬들이 연결된 가지가 많은 구조로 소화 효소에 대한 내성이 낮아 소화가 잘 되는 편 분자량에 비례해 점도가 높아짐 열을 가해 복잡한 분자 구조가 느슨해지며 사이사이에 물 분자가 침투하기 쉬워져 팽윤 현상이 더 잘 나타남 + 노화시에 재결합하는 시간이 길다 추가 )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은 쌀은 형태 유지가 어려움 ( 숫자 = 아밀로오스 함량 ) 2022.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