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백질3

단백질의 영양학적 기준(완전단백질, 불완전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 종류 한눈에 알아보기 > 영양학적인 기준 > '필수 아미노산' 이라고 불림 (트립토판 trptophan, 트레오닌 threonine, 이소루신 isoleucine, 루신 leucine, 라이신 lysine, 메티오닌 methionine, 페닐알라닌 phenylalanine, 발린 valine, 히스티딘 histidine) + 성장기의 경우 아르기닌 arginine 1.1 완전단백질 : 모든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단백질 - 보통 동물성 단백질을 말하지만, 식물성 단백질도 완전 단백질일 수 있음 ex) 대두, 검은콩, 퀴노아 1.2 불완전단백질 : 필수아미노산이 부족한 단백질 체단백질의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충당하지 못해 성장이 지연되고 감소 1.3 부분적불완전단백질 : 필수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지만 필요량을 충족시키.. 2022. 12. 20.
단백질 분류법 (화학적 분류/영양적 분류/형태적 분류) 한눈에 알아보기 단백질 Protein 다양한 기관, 효소, 호르몬 등 신체를 이루는 주성분 몸에서 물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함 최소 100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 구성단위 - 아미노산 일반 구조식 : RCH(NH2)COOH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아미노산의 개수가 2~30개 정도밖에 되지 않으면 펩타이드라고 부름) → 단백질의 분류 ← 1. 화학적 분류 ( 단백질의 조성과 용해도에 따른 분류 ) 분류 특징 ex) 단순단백질 - 아미노산만으로 이루어진 단백질 - 가수분해에 의해 단순아미노산과 그 유도체를 생성 - 용해되는 여부에 따라 분류 알부민 (Albumin) * 물, 묽은 염/산/알칼리에 잘 녹음 * 동물성/식물성 단백질에 많이 함유 * 동물성 알부민 : 난백(오브알부민/ovalbumin),.. 2022. 11. 1.
DIAAS 단백질 가치 평가 (체내 흡수되는 아미노산의 양을 기준으로 한 새로운 평가법) 한눈에 알아보기 DIAAS Digestible Indispensable Amino Acid Score, 소화 가능한 필수 아미노산 스코어 ( PDCAAS를 대체하기 위해 권장되는 새로운 방법 ) : PDCAAS는 섭취한 양에서 대변으로 나오는 양 차이로 소화율을 계산했지만 몸에 흡수된 경우가 아니라 대장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이 흡수하는 양도 포함 DIAAS는 섭취한 양에서 소장과 대장이 만나는 지점에서 채취한 변을 기준으로 판단 나이에 따른 아미노산 필요량 비율을 적용해 가중치 부여 실험용 돼지를 대상으로 실험 T-캐뉼러 삽입해 5일 식단적응, 2일 수집 → 계산 ← DIAAS % = 100 * (1g에 포함된 소화 가능한 식이 필수 아미노산 /기준 단백질 1g 동일한 식이 필수 아미노산) 각 식이 IAA 및 가장 낮은 .. 2022. 10. 27.